1.5.5 상수
식별자를 붙여 값을 저장하는 것을 변수라고 부른다.변수에 값을 대입할 때는 =을 사용한다. 대입한 값은 나중에 다른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변수의 특징은 몇 번이라도 값을 대입할 수 있다는 데이 있다. 반면에 한번 대입한 값을 나중에 변경하고 싶지 않을 때가 있다. ...
식별자를 붙여 값을 저장하는 것을 변수라고 부른다.변수에 값을 대입할 때는 =을 사용한다. 대입한 값은 나중에 다른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변수의 특징은 몇 번이라도 값을 대입할 수 있다는 데이 있다. 반면에 한번 대입한 값을 나중에 변경하고 싶지 않을 때가 있다. ...
자바에서는 참조형 값만 받는다고 정의되어 있으면 기본 자료형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이때는 기본 자료형을 클래스로 변환해야 한다. 자바에서는 이런 경우에 대응하고자 래퍼 클래스라는 기본 자료형을 나타내는 클래스가 각각 준비되어 있다. 기본 자료형과 래퍼 클래스의...
클래스에서 생성된 실체를 인스턴스라고 하며 참조형 데이터가 된다. 자바에서는 다음처럼 new 키워드로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Date today = new Date(); 단, String의 경우 큰따옴표로 에워싼 문자열을 대ㅐ입해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도 있다. Strin...
참조형은 인스턴스가 위치한 메모리 영역(힙 영역)의 주소를 가지는 자료형이다.주요 참조형으로는 클래스와 배열이 있다. 참조형으로 변수만 선언한 경우(초깃값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 참조할 주소가 없으므로 그 값은 null,즉 아무것도 가리키지 않은 상태가 된다. Note...
자바에서 다루는 자료형은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하나는 기본 자료형이고, 다른 하나는 참조형이다. 둘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기본 자료형은 데이터 값을 직접 가진다.- 참조형은 값을 가진 인스턴스의 참조 주소(메모리상의 배치된 장소)를 가진다. 인스턴스 자체를 ...
간단한 앱을 만들면서 자바의 기본적인 산술 연산에 관해 알아보자. 자바에서는 소수점을 포함하지 않는 수는 int로, 소수점을 포함하는 수는 double로 다룬다. 주요 산술 연산자연산자 개요 + 더하기 - 빼기 * 곱하기 / 나누기 % 나머지 자바에서는 이런 산술 연산...
지금까지 자바의 기본적인 문법을 설명했다. 클래스를 어떻게 선언하고, 그 클래스에서 어떻게 데이터를 설정하는지, 처리를 실행하는 메서드를 어떻게 호출한은지 이해했으리라 생각하낟. 이 절에서는 자바에서 이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연산을 살펴보자. 1.4.1 자바의 주요 연...
앞서 클래스에서 생성한 인스턴스의 변수와 메서드를 살펴보았다.인스턴스들은 똑같은 클래스를 바탕으로 하더라도 인스턴스마다 내부의 변숫값과 메서드의 행동이 다르다.하지만 static을 붙임으로써 변수와 메서드를 클래스에서 유일한 것으로 다룰 수 있다. static 변수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