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고 가벼운 웹 세상의 시작, HTML5
일반적으로 HTML이라고 하면 웹 페이지를 만들 때 사용하는 단순한 마크업 언어라고 생각 합니다.
물론 맞는 말입니다. 하지만 HTML5 시대가 도래하면서 웹은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기존 액티브X와 플래시, 실버라이트 등 플러그인으로 가득했던 웹페이지는 이제 자체 기능으로도 모든 것을 만들 수 있습니다.
HTML은 웹 프로그래머라면 모두 거쳐야 하는 길입니다. 과거의 HTML은 서버 개발자가 부가적으로 다루는 단순한 기술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어떠한 서버 언어를 다루더라도 모든 웹프로그래머가 HTML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하니까요. 하지만 HTML5 시대가 시작되었고 서버가 하던 기능이 클라이언트로 분산되면서 HTML5가 독립적인 기술로 활약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을 사용한다면 간단한 백과사전 탐구용으로 위키피디아를 받았을 수 있고, 친구와 이야기하려는 목적으로 페이스북 응용 프로그램을 받았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은 모두 HTML5를 사용하여 개발된 것입니다. 이외에도 아임인, 다음 캠프, 링크드인 같은 응용 프로그램을 받았을 것입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은 모두 HTML5를 사용해 개발되었습니다. 또 HTML5 표준이 완성될 수록 윈도우 8 또는 크롬 OS, 타이젠 OS, 우분투 포폰, WebOS처럼 HTML5를 응용 프로그램의 기본 개발 언어로 정하는 운영체제도 늘어납니다. HTML5를 사용해 액티브X와 플래시로 만들던 응용 프로그램은 물론이고, 일반 데슼느톱 응용 프로그램과 모바일 응용 프로그램까지 만들어야 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HTML 5는 더이상 가볍게 살펴보고 넘어갈 수 있는 영역이 아닙니다.
이 책은 HTML5 개발의 가장 기초적인 내용을 다룹니다. HTML5표준과 함께 개발되는 CSS3 표준과 ECMAScript5 표준(자바스크립트)의 내용을 알아보고 jQuery 라이브러리를 살펴봅니다.
이 내용을 집필할 수 있게 도왖준 한빛아카다ㅔ미의 유경희님과 이 내용의 편집을 맡은 기밍화님에게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검토를 도와준 최지현님, 조선민임, 임승우님, 이용균임, 손정현님, 류태호님, 김영현님, 이성운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개정판을 펴내며
2013년 HTML5 웹프로그래밍 입문을 집필한 후 3년ㄷ만에 개정을 했습니다. 처음에는 ㄷ'대학에서 HTML5를 공부하면 얼마나 하겠어?'라고 생각했었는데, 이 책이 2014년도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어 대한민국학술원에서 상까지 받아서 약간 놀랐습니다.
개정판에는 반응형 우베 장을 추가했으며, 새로운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프로젝트도 추가했습니다.
그리고 라이브러리의 버전을 업그레이드하고 최신 기술 흐름도 반영했습니다.
이 책에서 다루는 HTML5, CSS3, 자바스크립ㅌ으와 관련해서 초판을 집필했던 2013년과 현재 시점의 가장 큰 변화는 '이 기술들이 더 이상 웹 프로그램이을 할 때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 ' 입니다.
자바스크립트는 Node,js의 발전과 더불어 웹 서버 시장을 점령하면서 Node,js를 활용한 loT 개발에도 사용됩니다. 또 Node.js를 활용해 GitHub에서 일렉트론 Electron이라는 기술을 발표하면서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Visual Studio Code, 아톰에디터 Atorm Editor, 슬랙 데스크톱 톱 클라이언트 Slack Desktop Client, 워드프레스 데스크톱 클라이언트 Wordpress Desktop client 등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을 HTML5, CSS3, 자바스크립트로 구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리액트 네이티브 React Native 등의ㅏ 등장으로 모바일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을 HTML5, CSS3, 자바스크립트로도 구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이 책의 내용을 어느정도 활용하고, 스스로 더 공부해 나간다면 애플리케이션 개발 분야도 쉽게 도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내용의 편집을 맡은 한빛아카데미(주)의 강은희 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지은이 윤인성
출처 : HTML5 웹 프로그래밍 입문에서 발췌